switch문은 C언어 등에서 사용하는 제어문 중의 하나로, 분기 명령에 속한다. 내가 자주 사용하는 javascript에서도 switch 문법을 지원한다. 같은 변수를 비교하는 경우, if - else if 로 중첩된 조건문보다 switch문을 더 선호하는 편이다. 비교 상황을 직관적으로 잘 설명해주기도 하고, 무엇보다도 indent 구조가 더 깔끔해보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switch문을 쓰면서 항상 궁금했던 것이 있다. 왜 case마다 break를 굳이 사용해서 다른 case로 넘어가는 것을 막아줘야 할까? if문과 어떻게 다르게 동작하길래 break를 해주지 않으면 다음 case로 넘어가서 나머지 코드블럭이 전부 실행되는 것일까? 사실 Javascript 뿐만 아니라 switch 제어 문법을 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