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국어

· Web
지난 글을 통해 i18n 프로젝트를 설정하고 Next.js, next-intl 라이브러리를 활용하여 실제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제 마음껏 기능 개발을 하면서 국제화된 텍스트를 앱에 적용해볼 수 있다. 그런데.. 어플리케이션 규모가 커지고 지원하는 언어/국가가 늘어날수록 뭔가 불편한 구석이 생겨날 것이다. 바로 다국어 텍스트를 수작업으로 관리하는 어려움이다. 개발자가 다국어 메세지 하나 추가하려면, 1. 언어 갯수만큼 존재하는 en.json 같은 파일에 들어가서, 2. namespace에 해당하는 적절한 위치를 찾아 중복되지 않는 key를 만들고, 3. 다국어 번역본을 복붙해줘야 한다. 지원 언어가 많아질수록, 텍스트와 도메인이 방대해질수록 이것은 보통 노가다가 아닐 뿐더러, 개발자의 실수가..
· Web
글로벌 서비스에 다국어 기능은 선택이 아닌 필수다. 그런데 단순히 한국어만을 고려한 어플리케이션과, 여러 개의 국가를 고려한 어플리케이션은 메세지를 화면에 띄워주는 구조부터 다르다. 따라서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한다면, 초기 설계 단계부터 다국어를 고려하는 게 좋다. 이번 글에서는 다국어 웹사이트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어떤 것들을 고려해야 하고, 어떻게 만들어야 할 지를 다뤄보고자 한다. i18n이란Internationalization(국제화) 의 준말. 비슷한 용어로 Localization(현지화) 도 있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것들을 의미한다. 언어에 맞는 다국어 번역 및 최적화된 UI를 제공하는 것은 기본이다. 번역본을 관리하고, 언어 설정에 맞게 번역된 텍스트를 UI에 노출시켜야 하며, 텍스트 ..
헤일
'다국어' 태그의 글 목록